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서비스 유형 3가지 신청 방법

1.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서비스 유형 3가지 신청 방법

   1)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은?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서비스 유형에는 3가지 신청 방법이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산후 도우미를 부르기에는 아무래도 경제적인 부담이 크기 때문에 정부에서 금액 지원을 해 주는 제도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데요, 이 추세는 정부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더욱 더 낮아지고 있어요. 2023년 기준으로 출산율은 여성 1명당 0.72명으로, 2022년의 0.78명에서 감소했고, 2024년에는 0.68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출산율 감소의 원인으로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높은 양육 비용, 비싼 주택 비용, 경쟁이 치열한 직장 환경과, 직장과 가정 안에서 야기되는  성 불평등 외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2) 한국 여성들의 현실은?

많은 한국 여성들은 자녀를 낳을 경우 직장 경력과 아이를 기르는데 아주 많은 경제적인, 그 밖의 사회적인  부담 때문에 아이를 낳기를 꺼려하고 있습니다. 그런 어려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어느 정도 지원을 해주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피부에 와 닿는 정부 지원금이 적용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듯 합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이 많은데요 그중 산후 도우미 정부 지원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2. 산후 도우미 지원 대상 및 기간

  1) 산후 도우미 정부지원금 대상

    •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모든 가정이 산후 도우미 정부지원금 대상입니다.
    • 기본적으로 소득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집니다. 기준 중위 소득 150% 이하의 가구가 주요 대상입니다.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일로부터 30일 이내 신청해야 합니다.
    • 유산, 사산의 경우 임신 16주 이후 발생 시 확인 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시 신생아 퇴원 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산후 도우미 정부지원금 신청 가능합니다.

  2) 산후 도우미 정부지원금 서비스 3가지 유형 및 기간

    • 출산 일로부터 60일 이내 사용해야 하며, 삼태아 이상인 경우 최대 80일까지 연장 가능합니다​.
    • 예를 들어, 출산 일이 2024년 7월 1일인 경우, 2024년 9월 1일까지 산후 도우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단태 아이

    • 첫째 아이, 둘째 아이, 셋째 아이 이상에 따라 각각 산후 도우미 서비스 제공 일수가 달라집니다.
    • 예를 들어, 첫째 아이의 경우 기본형으로 10일 또는 둘째 아이 일때 15일, 셋째 아이 이상 일때 15일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2) 쌍태 아이 또는 중증 장애 산모 단태 아이

    • 쌍태 아이의 경우 서비스 제공 일수가 늘어납니다. 첫째 쌍태 아이는 기본형으로 15일 또는 20일의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3) 삼태 아이 이상 또는 중증 장애인 산모

    • 삼태 아이 이상의 경우, 서비스 제공 일수가 더 길어집니다. 예를 들어, 삼태 아이 이상 출산의 경우 20일 또는 25일의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3) 산후 도우미 정부 지원 서비스

산후 도우미는 산모와 신생 아이의 건강 관리, 식사 준비, 세탁, 청소 등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단, 산모와 신생아이 외의 다른 가족 돌봄이나 일반 가사 활동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1) 산모 건강 관리

산모 신체 상태 조사, 유방 관리, 산후 부종 관리, 산모 영양 관리, 좌욕 지원, 산모 위생 관리, 산후 체조 지원

      (2) 신생아 건강 관리

신생아 건강 상태 확인, 신생아 청결 관리, 신생아 수유 지원, 신생아 위생 관리, 예방 접종 지원

      (3) 산모 정보제공

응급 상황 발견 및 대응, 감염 예방 및 관리, 수유, 산후 회복, 신생아 케어 관련 산모 교육

      (4) 가사 활동 지원

산모 식사 준비, 산모, 신생아 주 생활 공간 청소, 의류 세탁

      (5) 정서 지원

산모, 신생아의 정서 상태의 이해와 정서적인 지지

      (6) 기타

제공 기록 작성과 특이 사항 보고

 

 

3. 산후도우미 지원 금액 및 자가 부담금

2024년 산후 도우미 서비스의 지원 금액과 자가 부담금에 대해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정부의 산후 도우미 지원 금액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서비스 유형과 기간에 따라 산후 도움미 정부 지원금 금액이 달라집니다.

   1)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소득 기준별 지원 금액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의 산후 도우미 정부 지원금의 금액이 높아지고, 자가 부담금이 낮아집니다.

 

가구원 수에 따른 소득 기준표 (2024년 기준 중위 소득 150%):

가구원수 소득 기준 (원) 직장 가입자 건강 보험료 (원) 지역 가입자 건강 보험료 (원) 혼합 가입자 건강 보험료 (원)
2인 5,524,000 196,672 146,739 199,492
3인 7,072,000 251,147 210,599 255,837
4인 8,595,000 304,986 271,091 314,423
5인 10,044,000 360,818 332,772 377,299
6인 11,428,000 422,318 400,222 453,848
7인 12,773,000 453,848 433,430 498,289
8인 14,118,000 543,979 524,772 589,232
9인 15,463,000 589,232 567,285 659,065
10인 16,808,000 659,065 625,932 773,009

예시: 첫째 아이 기준

소득 구분 정부 지원금 (10일 표준형) 자가 부담금
기준 중위 소득 50% 이하 1,036,000 원 0 원
기준 중위 소득 50~100% 이하 949,000 원 427,000 원
기준 중위 소득 100~120% 이하 876,000 원 500,000 원
기준 중위 소득 120~150% 이하 703,000 원 673,000 원
기준 중위 소득 150% 이상 704,000 원 624,000 원

 

참고: 자가 부담금은 정부 지원금에서 전체 서비스 비용을 뺀 금액을 말합니다​.

   2)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서비스 유형별 지원 금액

      (1) 단태 아이 기준 (첫째 아이)

    • 10일 표준형 : 총 비용 1,376,000원 중 정부 지원금 704,000원, 자가 부담금 672,000원.
    • 15일 표준형 : 총 비용 2,064,000원 중 정부 지원금 1,056,000원, 자가 부담금 1,008,000원.

      (2) 쌍태 아이 기준

    • 10일 표준형 : 총 비용 2,052,000원 중 정부 지원금 1,512,000원, 자가 부담금 540,000원.
    • 15일 표준형 : 총 비용 3,078,000원 중 정부 지원금 2,268,000원, 자가 부담금 810,000원.

      (3) 삼태 아이 이상

    • 15일 표준형 : 총 비용 4,104,000원 중 정부 지원금 3,024,000원, 자가 부담금 1,080,000

      (4)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에서 제외 되는 서비스

    • 산후 도우미 정부 지원금은 산모와 신생아 외의 가족의 돌봄이나 일반 가사 활동, 비일상적인 집안의 대청소, 애완동물의 관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4.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신청 방법과 필요 서류

      1)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사이트(www.bokjiro.go.kr)에 접속하여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신청
      :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신청에 필요한 서류

5.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 사업

서울특별시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산모는 추가로 ‘서울형 산후조리 경비 지원 사업‘을 통해 100만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이 중 50만원은 산후 도우미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추가 참고 자료

산후 도우미 정부 지원금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지역별 보건소에 직접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의 산후 도우미 정부지원금을 통해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Similar Posts